현대인의 건강 상식! 불면증의 원인과 종류 치료방법!

건강 healthy|2021. 1. 8. 12:36

건강의 3요소를 보통 잘 먹고, 잘 배설하고, 잘 자는 것으로 숙면은 건강에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면역력 강화와 항산화에 필수인 숙면 방해 불면증의 원인과 종류,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불면증(Insomnia)은 습관적 만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짧고 단속적이거나 얕은, 수면 중 꿈을 자주 많이 꾸는 수면 등으로 잠자는 동안의 수면의 길이나 질이 문제이지만, 실제로는 불면증은 아니지만 불면으로 생각하는 신경증으로서의 불면증도 상당히 많습니다.


누가 업어가도 모를 정도의 숙면감이 없거나, 쉽게 잠 들지 못하는 등의 불면증으로 고생하는 한국인은 5명 중 1명 정도로 고생하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불면증은 눈을 떴을 때 피곤하면서 수면이 부족하다는 느낌이 강하게 느끼면서, 이로 인해서 사회 및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는 현대인들이 우리 주변에 은근히 많이 겪고 있는 괴로운 상태입니다.


불면이 평균적으로 1달 이상 지속이 되는 장기 불면의 경우 불면증일 가능성이 높고, 원인으로는 보통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인 요인과 간지러움, 아픔 등의 신체적인 요인, 소음 등의 환경적 요인, 우울증 등의 정신 질환이 있습니다.


insomnia


숙면이 건강에 매우 중요한 이유는 밤 10시~새벽 2시 숙면시 멜라토닌 호르몬이 가장 많이 발생을 하는데, 10대 성장기때 가장 많은 멜라토닌  호르몬이 나오면서 성장 호르몬 및 지방분해 역할을 하고, 성인에게는 면역력 강화 및 항산화에 효과가 있어서 질 좋은 수면은 건강을 지키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불면증의 종류는 4가지로 분류가 되고, 중도 각성, 숙면 장애, 조조 각성, 입면 장애의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입면 장애는 잠들기까지 약 30분 이상이 걸리는 경우로 불안한 상태나 정신적 문제로 발생하기 쉽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수면 도중 몇 번씩 잠을 깨는 중도 각성은 누가 업어가도 모를 정도의 숙면을 취하지 못하기에 다음날 활동에 매우 지장을 줍니다. 조조 각성일어나고자 하는 시간보다 약 2~4시간 빨리 눈을 떠버리는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로 보통 우울증 환자에게 특징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수면 장애입니다. 숙면 장애는 잠자는 시간은 충분하지만 깊게 잠을 못자는 상태로 숙면감이 없어 일상생활에서 피로감이 많은 경우를 말합니다.


불면증 치료방법의 실천사항을 정리하면, 잠이 쉽게 오지 않을 때 미지근한 우유 한잔을 마시면 정신 안정 효과가 있는데, 우유의 단백질이 분해될 때 오피오이켑티드란 물질이 생성이 되면서 진통효과 및 정신안정이 있어 수면을 유도하는 이유입니다. 그 외 1일 30분 정도의 일광욕, 적당한 노동 및 운동량, 규칙적인 생활도 불면증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사람마다 개인 차이는 있지만, 우리가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면은 필요하기 때문에 수면 시간은 일반적으로 약 8시간이라고 하지만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더구나 취침 시간에 너무 얽매이지 말고, 졸음을 느낄 때 잠자리에 눕는 것도 나쁘지 않고, 자기 전에는 자극적인 카페인 등의 음식을 피하고 규칙적이고 과식하지 않는 3끼 식사에 무리하지 않는 운동도 수면의 질과 안정을 좋게 합니다. 하지만 장시간 충분히 수면을 취했지만 일상생활에서 계속 졸음이 온다면 전문의와 상담을 하시는 것도 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