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결핵 비활동성결핵 잠복결핵감염 뜻 의미와 비교 차이 정리

건강 healthy|2019. 9. 16. 22:13

아주 오래전 결핵에 걸리면 치료를 못하고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금은 특별한 질병도 아닌 약으로 치료가 가능한 병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결핵 vs 비활동성 결핵 vs 잠복결핵감염]의 뜻과 의미, 질병의 차이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 결핵은 무엇일까?

결핵은 결핵균이 몸 속으로 침범하여 일으키는 질환으로 결핵환자가 기침할 때 공기 중으로 결핵균이 포함된 비말핵을 배출하고, 주위 사림이 그 공기로 숨을 쉴 때 그 비말핵이 폐로 들어가서 결핵균에 감염이 되는 질병!

 

보통 폐로 들어간 결핵균이 증식하여 염증반응을 일으키면서 결핵을 발전! 

 

결핵

※ 비말핵 : 재채기 및 기침을 할 때 나온 작은 분비물에서 수분이 증발한 상태.

 

결핵균은 대부분 폐로 침범하기 때문에 폐결핵(85%)이 가장 많고, 림프절 및 흉막 등 폐 이외의 장기에도 침범하여 폐외 결핵을 일으키기도 합니다(15%).

 

증상으로는 기침이 가장 흔하고, 체중감소, 피로, 발열(특히 야간발열) 등이 있습니다.

 

결핵은 공기를 통한 대표적인 호흡기 전염성 질병으로 주의 사람들에게 결해균을 전파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폐외 결핵만 있는 경우에는 전염섬이 없고, 전염성 결핵환자도 결핵약을 복용하면 대부분 전염성이 떨어집니다.

 

우리가 말하는 결핵은 활동성 결핵을 의미하고, 법적의무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1조(의사등의 신고), 제12조(그 밖의 신고의무자) 및 결핵예방법 제8조(의료기관등의 신고의무)에 따라 신고를 해야 합니다.

 

■ 비활동성 결핵은 치유되고 흔적만 남긴 경우.

 

■ 잠복결핵감염이란?

인체의 몸 속에 들어온 소수의 결핵균이 증식을 하지 않아 결핵이 발병하지 않은 상태!

 

잠복결핵감연

잠복결핵감염은 몸 안에 결핵균이 존재하지만(TST 또는 IGRA 양성) 활동 및 증식하지 않아 결핵이 발병하지 않은 상태(흉부 X선 검사는 정상이고, 결핵 증상은 없음)를 의미합니다.

 

비전염 결핵균

잠복결핵감염은 결핵과 관련된 증상이 없고, 결핵균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전염성이 없어 주위 사람들에게 전파되지 않습니다.

 

다만, 잠복결핵감염자가 면역력이 떨어질 경우 향후 결핵으로 발병할 수 있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 약 10% 정도가 결핵으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고, 이 경우에는 친구, 가족, 직장동료 등에게도 결핵을 전파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전염성 결핵환자와  밀접접촉자 중 약 30%가 결핵균 감염 확률).

 

■ 잠복결핵감염과 결핵의 비교.

 

잠복결핵감염자는 법적으로 신고 의무가 없지만, 결핵 감염자는 법적으로 보건서 등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