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세계 강대국(가장 강한국가)순위 TOP20(U.S 뉴스월드 리포트 선정)

시사-경제-교육-정치|2020. 3. 11. 22:16

이 지구상에는 약 200개 이상의 국가가 존재합니다. 서로 다른 문화, 관습, 언어, 생활, 음식이 존재하고 잘사는 국가와 못사는 국가, 그리고 강대국과 약소국으로 분류도 합니다.

 

이번에는 미국 U.S 뉴스월드 리포트가 매년 발표하는 "2020년 세계에서 가장 강한 국가" 20위 TOP20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선정기준은 U.S 뉴스월드 리포트가 매년 세계에서 약 2만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로 "경제력+정치력+군사력" 종합해서 해당 국가의 영향력으로 결정을 한다고 합니다.

 

과연 대한민국은 몇 위에 랭킹이 되었고, 1위는 2번 생각할 필요도 없는 국가입니다.

 

20위 스웨덴(2019년 21위).

복지국가로 알려진 유럽에서도 넓은 국토 면적을 가진 나라 중 하나로 은근히 첨단 기술력을 가진 국가입니다.

 

1903년 라이트 형제가 최초로 동력 비행기 성공을 했고, 스웨덴도 1910년 부터 동력 비행기를 만들던 국가로, 자체적으로 초음속 전투기를 만들 수 있고, 수중펌프도 가장 잘 만드는 국가로 알고 있습니다.

 

강대국

19위 스페인(2019년 23위).

오래던 제국주의 시절 해양 강대국과 식민지를 거느린 국가이지만, 요즘에는 경제가 좋지 않아서 예전 같지는 않습니다.

 

18위. 카타르(2019년 24위).

국토는 매우 작지만, 화석연료의 큰 자산을 보유한 국가로 석유 및 천연 가스로 인한 오일머니가 많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

 

2022년 월드컵 개최를 할 정도로 국력이 상승했습니다.

 

17위 이탈리아.

매년 년간 4,000만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국가로 관광수입이 대단하지만, 이번 전염병으로 현재 이탈리아 국내 지역별 이동을 중단하면서 초상집이 되었습니다.

 

16위 터키.

한국하고는 형제의 국가로 알려져 있고, 터키의 국가 위치 상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중요하고 다른 방법이 없는 문화의 교제가 있는 국가로 평가!

15위 호주(순위 변동 없음).

화이트 앵글로 색슨 계열의 민족과 국가로 미국의 우방국에서 A등급이라고 할 정도로 방대한 영토를 가진 국가!

 

더구나 하나의 대륙을 1개의 국가가 소유한 것은 매우 드문 케이스이지만, 크면 큰대로 걱정이 많다고 이번 산불로 인한 진화 실패와 장기화가 문제!

 

14위 인도.

중국 다음으로 인국가 많은 국가로 인도의 인구는 약 14억에 근접하는 세계 인구의 약 1/6를 가진 잠재력이 큰 국가.

 

더구나 상당히 비위생적인 국가로 알려져 있지만, 당근+양파를 베이스로 한 식단과 강황 등의 면역력이 높은 음식 섭취로 이번 코로나19에서도 바이러스가 피해갈 정도의 바이러스 청정 국가라는 말도 있습니다.(부럽다~~~!).

 

13위 스위스.

상당히 호불호가 갈리는 국가로 1815년 비엔나 의정서 채택으로 200년 이상 영세 중립국으로 남아있는 국가로 내륙 국가이지만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워낙 복지가 잘되어서 큰 걱정이 없어서 그런지 유럽OECD 가입 국가 중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고, 높은 부가가치 제조업 발달로 대학 진학률이 50%도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면, UN가입도 검은 장부 국가라는 압박으로 2000년도에 가입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2위 캐나다.

국토 면적은 러시아 다음으로 세계 2위와 다양한 천연자원이 풍부하고 이민자 수용에 대해서 매우 관대한 국가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의료정책이 너무 좋다보니 의사들이 돈되는 미국으로 가서, 간단한 수술도 몇 개월 기다려야 된다는 말도 있습니다. 역시 이 지구상에 완벽한 국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11위 아랍 에미리트.

만수르 형님이 생각나는 국가로 근본적으로는 매우 보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는 헌법을 내걸고 중동 아랍 국가에서는 가장 교양있는 국가라고도 합니다.

 

역시 오일 머니로 큰 돈을 번 국가 중 하나입니다.

 

가장 강한국가

이 지구상의 모든 국가는 달러는 벌기 위해서 일을 하고 제품을 만들어서 수출을 합니다. 바로 기축통화 달러! 이 달러에 도전을 하는 국가는 현재처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작살을 냅니다!

 

10위 사우디.

메카 성전이 있는 국가로 이슬람교의 중심의 중요성으로 중동의 거인이라고 불리는 국가로 한 때 세계 주유소라 할 정도로 오일머니로 부국이 된 국가입니다.

 

하지만 알고보면 관광대국으로 메카라는 성전에 매년 수천만명의 이슬람 신도들이 기도를 하기 위해서 방문을 하다보니 사회적 혼란 예상으로 국가별 쿼터제를 줄 정도로 관광대국 중 하나!

 

9위 대한민국.

작지만 강한국가가 바로 우리의 대한민국으로 다양한 산업과 문화가 혼합된 국가로 선정이 되었는데, 이상하게 북한하고의 관계가 의문이라고 하면서 Question mark ?가 달렸습니다.

 

현재로는 서쪽 나라하고의 관계가 더 문제입니다. 한국이 9위에 랭킹이 되니 동쪽나라는 난리!

 

강대국 순위

한국의 돈도 국제사회에서 두루두루 통용이 되어야 좋은데, 역시 기축통화가 되는 것에는 많은 희생과 주변국의 동의가 있어야 됩니다. 아무것도 모르고 기축통화에 도전을 하면 서쪽나라처럼 ㅈ됍니다!

 

8위 이스라엘.

미국 위에 있을 정도로 금융권 유대인들의 파워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더구나 국토는 매우 좁지만 한때는 중동의 화약고로 불리면서 국제 문제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면서 영향력이 크고 경제력도 강한 국가입니다.

 

작지만 진짜 강한 국가가 바로 이스라엘!

 

7위 일본.

한때 미국의 경제력을 능가할려다 플라자 회담으로 잃어버린 30년을 가고 있는 국가이지만, 튼튼한 기초과학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정교한 정밀부품과 기술발전이 진행된 국가!

 

6위 프랑스.

프랑스의 역사를 살펴보면 아주 오래전의 과거부터 현재까지 프랑스는 세계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합니다.

 

특히, 왕정 제정을 거친 공화제로 이행을 하고, 세계에서 가장 빨리 개인의 권리를 옹호한 국가로 고위직 부패는 상상도 안되고 처벌도 강한 국가 중 하나!

 

5위 영국.

해가 지지 않는 대영제국이지만 현재로는 독고다이 파운드화에 경제도 그다지 넉넉지 않고 건강의료보험 시스템도 적자가 많다고 합니다.

 

하지만, 한때 기축통화 파운드화를 운영한 국가로 문화, 과학, 정치, 경제 등에서 매우 발전을 이룬 나라로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 각국에 영향력을 발휘한 국가!

 

현재에는 EU회원국이 아닌 이탈로 영국의 예전 같은 역할과 수행을 하기에는 좀 불안하다는 예상이 많습니다.

 

4위 독일.

유럽의 맏형으로 유럽 전체를 먹여 살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경제 대국! 과거의 나치 문제로 군사력은 좀 떨어지지만 경제력과 기술력으로 충분히 군사력 상승도 가능!

 

3위 중국.

2019년 12월 ~ 현재 2020년 03월 이 지구상에서 가장 핫 한 국가! 국토가 큰 만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과 이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인구와 국토 면적도 세계에서 3번째로 큰 나라!

 

한 때 저임금과 8억명 이상의 노동력으로 세계공장이 되면서 미국 다음의 경제 대국이 되었지만 현재에는 점점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다! 

 

2위 러시아.

지구상에서 가장 큰 국토를 가진 국가에 우주항공 최고 기술력과 석유 및 천연가스가 넘쳐나지만 경제력은 예전이나 현재에도 그다지 좋지 않지만 역시 군사력으로 2위에 랭킹!

 

국토가 너무 크다보니 12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영해는 일본과 미국에 접할 정도의 너무 큰 국가! 푸틴의 강한 카리스마에 이번 전염병이 확산이 되자, 서쪽나라 사람들 바로 입국금지 조치! 그리고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멀쩡!

 

1위 미국.

2번 생각도 필요없는 국가로 1944년 미국 국토의 어디에 있는 지도 모르는 지역에서 모인 브렌트우드 협정으로 현재까지 기축통화 달러를 유지하는 초 강대국 및 패권국가!

 

기축통화 달러를 앞세워 막강한 경제력과 군사력을 자랑하고 TV 및 영화, 음악 등 문화면에서도 세계에 매우 큰 영향을 준 국가!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폐쇄정책 및 아메리카 퍼스트를 외치면서 동맹국의 불평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댓글()